📙 1. 문제
Link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2
문제 설명
카카오배 양궁대회가 열렸습니다.
라이언은 저번 카카오배 양궁대회 우승자이고 이번 대회에도 결승전까지 올라왔습니다. 결승전 상대는 어피치입니다.
카카오배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한 선수의 연속 우승보다는 다양한 선수들이 양궁대회에서 우승하기를 원합니다. 따라서,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결승전 규칙을 전 대회 우승자인 라이언에게 불리하게 다음과 같이 정했습니다.
어피치가 화살 n발을 다 쏜 후에 라이언이 화살 n발을 쏩니다.
점수를 계산합니다.
과녁판은 아래 사진처럼 생겼으며 가장 작은 원의 과녁 점수는 10점이고 가장 큰 원의 바깥쪽은 과녁 점수가 0점입니다.

만약, k(k는 1~10사이의 자연수)점을 어피치가 a발을 맞혔고 라이언이 b발을 맞혔을 경우 더 많은 화살을 k점에 맞힌 선수가 k 점을 가져갑니다. 단, a = b일 경우는 어피치가 k점을 가져갑니다. k점을 여러 발 맞혀도 k점 보다 많은 점수를 가져가는 게 아니고 k점만 가져가는 것을 유의하세요. 또한 a = b = 0 인 경우, 즉, 라이언과 어피치 모두 k점에 단 하나의 화살도 맞히지 못한 경우는 어느 누구도 k점을 가져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어피치가 10점을 2발 맞혔고 라이언도 10점을 2발 맞혔을 경우 어피치가 10점을 가져갑니다.
다른 예로, 어피치가 10점을 0발 맞혔고 라이언이 10점을 2발 맞혔을 경우 라이언이 10점을 가져갑니다.
모든 과녁 점수에 대하여 각 선수의 최종 점수를 계산합니다.
최종 점수가 더 높은 선수를 우승자로 결정합니다. 단,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어피치를 우승자로 결정합니다.
현재 상황은 어피치가 화살 n발을 다 쏜 후이고 라이언이 화살을 쏠 차례입니다.
라이언은 어피치를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이기기 위해서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구하려고 합니다.
화살의 개수를 담은 자연수 n, 어피치가 맞힌 과녁 점수의 개수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담은 정수 배열 info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하기 위해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라이언이 우승할 수 없는 경우(무조건 지거나 비기는 경우)는 [-1]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 사항
- 1 ≤ n ≤ 10
- info의 길이 = 11
- 0 ≤ info의 원소 ≤ n
- info의 원소 총합 = n
- info의 i번째 원소는 과녁의 10 - i 점을 맞힌 화살 개수입니다. ( i는 0~10 사이의 정수입니다.)
- 라이언이 우승할 방법이 있는 경우, return 할 정수 배열의 길이는 11입니다.
- 0 ≤ return할 정수 배열의 원소 ≤ n
- return할 정수 배열의 원소 총합 = n (꼭 n발을 다 쏴야 합니다.)
- return할 정수 배열의 i번째 원소는 과녁의 10 - i 점을 맞힌 화살 개수입니다. ( i는 0~10 사이의 정수입니다.)
-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일 경우, 가장 낮은 점수를 더 많이 맞힌 경우를 return 해주세요.
- 가장 낮은 점수를 맞힌 개수가 같을 경우 계속해서 그다음으로 낮은 점수를 더 많이 맞힌 경우를 return 해주세요.
- 예를 들어, [2,3,1,0,0,0,0,1,3,0,0]과 [2,1,0,2,0,0,0,2,3,0,0]를 비교하면 [2,1,0,2,0,0,0,2,3,0,0]를 return 해야 합니다.
- 다른 예로, [0,0,2,3,4,1,0,0,0,0,0]과 [9,0,0,0,0,0,0,0,1,0,0]를 비교하면[9,0,0,0,0,0,0,0,1,0,0]를 return 해야 합니다.
- 라이언이 우승할 방법이 없는 경우, return 할 정수 배열의 길이는 1입니다.
- 라이언이 어떻게 화살을 쏘든 라이언의 점수가 어피치의 점수보다 낮거나 같으면 [-1]을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1 :
function solution(n, info) {
let answer = Array(11).fill(0);
let maxCount = 0;
function findMaxPoint(apeachCount, ryanCount, usedShots, point, arr) {
if (n < usedShots) return; // 사용한 화살의 수가 전체 화살수 보다 큰 경우
if (point > 10) {
// 10포인트까지 모든 경우를 탐색한 경우
let diff = ryanCount - apeachCount;
if (maxCount < diff) {
// 포인트 차이가 maxCount보다 큰 경우
arr[10] = n - usedShots;
maxCount = diff; // 해당 포인트 차이를 maxCount에 저장
answer = arr; // 해당 경우를 answer에 저장
}
return;
}
if (n > usedShots) {
// 라이언이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let current = [...arr];
current[10 - point] = info[10 - point] + 1;
findMaxPoint(
apeachCount,
ryanCount + point,
usedShots + info[10 - point] + 1,
point + 1,
current
);
}
if (info[10 - point] > 0) {
// 어피치가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findMaxPoint(apeachCount + point, ryanCount, usedShots, point + 1, arr);
} else {
// 둘다 점수를 얻지 못하는 경우
findMaxPoint(apeachCount, ryanCount, usedShots, point + 1, arr);
}
}
findMaxPoint(0, 0, 0, 0, answer); // 0포인트 부터 나올수 있는 모든 경우를 탐색한다
return maxCount <= 0 ? [-1] : answer;
}
- point변수를 사용하여, 0부터 10까지 탐색하였다. point : 현재 탐색 중인 포인트, arr : 라이언이 얻은 점수를 저장하는 배열
- 3가지 경우로 분류하였다.
- 1. 라이언이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 ryanCount + point, usedShots + info[10-point]+1을 넘긴다 = ryan의 점수에 point를 더하고, 사용한 shots에 info[10-point]+1 즉, 어피치가 쏜 개수보다 1개 더 쏜다. 그리고, arr배열의 값도 info[10-point]+1로 변경해준다.
- 2. 어피치가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 apeachCount+point, point+1을 넘긴다 = apeach의 점수에 point를 더하고, point에 1을 더하여 탐색 중인 포인터를 +1한다.
- 3. 둘 다 점수를 얻지 못하는 경우 : point+1만 넘긴다 = 탐색 중인 포인터만 1을 더해준다.
- 탐색이 완료되면 (point>10), 이전 포인트 차이보다 큰 지 확인 후 정답을 교체해준다. 그리고, arr[10]에 남은 shots을 넣어줌으로써 남은 shot을 비운다.
🤔 2. 느낀 점
쉽지 않은 문제였다. DFS 풀이 중에서 도중에 해가 아니라면 되돌아가는 백트래킹이라는 방법이 있구나.
🤩 3. 한 번 더 짚고 갈 점
# 백트래킹 : DFS를 사용하여 해를 찾는 도중 해가 아니어서 막히면, 되돌아가서 다시 해를 찾아가는 기법
'코딩 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방금 그곡 (1) | 2023.05.13 |
---|---|
[프로그래머스] 후보키 (0) | 2023.05.12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압축 (0) | 2023.05.11 |
[프로그래머스] 순위 검색 (0) | 2023.05.07 |
[프로그래머스] 게임 맵 최단거리 (0) | 2023.04.29 |
[프로그래머스] 이모티콘 할인행사 (0) | 2023.04.28 |
[프로그래머스]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0) | 2023.04.27 |
[4월 2일] 시소 짝꿍 (0) | 2023.04.02 |
📙 1. 문제
Link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2
문제 설명
카카오배 양궁대회가 열렸습니다.
라이언은 저번 카카오배 양궁대회 우승자이고 이번 대회에도 결승전까지 올라왔습니다. 결승전 상대는 어피치입니다.
카카오배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한 선수의 연속 우승보다는 다양한 선수들이 양궁대회에서 우승하기를 원합니다. 따라서,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결승전 규칙을 전 대회 우승자인 라이언에게 불리하게 다음과 같이 정했습니다.
어피치가 화살 n발을 다 쏜 후에 라이언이 화살 n발을 쏩니다.
점수를 계산합니다.
과녁판은 아래 사진처럼 생겼으며 가장 작은 원의 과녁 점수는 10점이고 가장 큰 원의 바깥쪽은 과녁 점수가 0점입니다.

만약, k(k는 1~10사이의 자연수)점을 어피치가 a발을 맞혔고 라이언이 b발을 맞혔을 경우 더 많은 화살을 k점에 맞힌 선수가 k 점을 가져갑니다. 단, a = b일 경우는 어피치가 k점을 가져갑니다. k점을 여러 발 맞혀도 k점 보다 많은 점수를 가져가는 게 아니고 k점만 가져가는 것을 유의하세요. 또한 a = b = 0 인 경우, 즉, 라이언과 어피치 모두 k점에 단 하나의 화살도 맞히지 못한 경우는 어느 누구도 k점을 가져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어피치가 10점을 2발 맞혔고 라이언도 10점을 2발 맞혔을 경우 어피치가 10점을 가져갑니다.
다른 예로, 어피치가 10점을 0발 맞혔고 라이언이 10점을 2발 맞혔을 경우 라이언이 10점을 가져갑니다.
모든 과녁 점수에 대하여 각 선수의 최종 점수를 계산합니다.
최종 점수가 더 높은 선수를 우승자로 결정합니다. 단,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어피치를 우승자로 결정합니다.
현재 상황은 어피치가 화살 n발을 다 쏜 후이고 라이언이 화살을 쏠 차례입니다.
라이언은 어피치를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이기기 위해서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구하려고 합니다.
화살의 개수를 담은 자연수 n, 어피치가 맞힌 과녁 점수의 개수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담은 정수 배열 info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하기 위해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라이언이 우승할 수 없는 경우(무조건 지거나 비기는 경우)는 [-1]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 사항
- 1 ≤ n ≤ 10
- info의 길이 = 11
- 0 ≤ info의 원소 ≤ n
- info의 원소 총합 = n
- info의 i번째 원소는 과녁의 10 - i 점을 맞힌 화살 개수입니다. ( i는 0~10 사이의 정수입니다.)
- 라이언이 우승할 방법이 있는 경우, return 할 정수 배열의 길이는 11입니다.
- 0 ≤ return할 정수 배열의 원소 ≤ n
- return할 정수 배열의 원소 총합 = n (꼭 n발을 다 쏴야 합니다.)
- return할 정수 배열의 i번째 원소는 과녁의 10 - i 점을 맞힌 화살 개수입니다. ( i는 0~10 사이의 정수입니다.)
-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일 경우, 가장 낮은 점수를 더 많이 맞힌 경우를 return 해주세요.
- 가장 낮은 점수를 맞힌 개수가 같을 경우 계속해서 그다음으로 낮은 점수를 더 많이 맞힌 경우를 return 해주세요.
- 예를 들어, [2,3,1,0,0,0,0,1,3,0,0]과 [2,1,0,2,0,0,0,2,3,0,0]를 비교하면 [2,1,0,2,0,0,0,2,3,0,0]를 return 해야 합니다.
- 다른 예로, [0,0,2,3,4,1,0,0,0,0,0]과 [9,0,0,0,0,0,0,0,1,0,0]를 비교하면[9,0,0,0,0,0,0,0,1,0,0]를 return 해야 합니다.
- 라이언이 우승할 방법이 없는 경우, return 할 정수 배열의 길이는 1입니다.
- 라이언이 어떻게 화살을 쏘든 라이언의 점수가 어피치의 점수보다 낮거나 같으면 [-1]을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1 :
function solution(n, info) {
let answer = Array(11).fill(0);
let maxCount = 0;
function findMaxPoint(apeachCount, ryanCount, usedShots, point, arr) {
if (n < usedShots) return; // 사용한 화살의 수가 전체 화살수 보다 큰 경우
if (point > 10) {
// 10포인트까지 모든 경우를 탐색한 경우
let diff = ryanCount - apeachCount;
if (maxCount < diff) {
// 포인트 차이가 maxCount보다 큰 경우
arr[10] = n - usedShots;
maxCount = diff; // 해당 포인트 차이를 maxCount에 저장
answer = arr; // 해당 경우를 answer에 저장
}
return;
}
if (n > usedShots) {
// 라이언이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let current = [...arr];
current[10 - point] = info[10 - point] + 1;
findMaxPoint(
apeachCount,
ryanCount + point,
usedShots + info[10 - point] + 1,
point + 1,
current
);
}
if (info[10 - point] > 0) {
// 어피치가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findMaxPoint(apeachCount + point, ryanCount, usedShots, point + 1, arr);
} else {
// 둘다 점수를 얻지 못하는 경우
findMaxPoint(apeachCount, ryanCount, usedShots, point + 1, arr);
}
}
findMaxPoint(0, 0, 0, 0, answer); // 0포인트 부터 나올수 있는 모든 경우를 탐색한다
return maxCount <= 0 ? [-1] : answer;
}
- point변수를 사용하여, 0부터 10까지 탐색하였다. point : 현재 탐색 중인 포인트, arr : 라이언이 얻은 점수를 저장하는 배열
- 3가지 경우로 분류하였다.
- 1. 라이언이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 ryanCount + point, usedShots + info[10-point]+1을 넘긴다 = ryan의 점수에 point를 더하고, 사용한 shots에 info[10-point]+1 즉, 어피치가 쏜 개수보다 1개 더 쏜다. 그리고, arr배열의 값도 info[10-point]+1로 변경해준다.
- 2. 어피치가 이겨 포인트를 얻는 경우 : apeachCount+point, point+1을 넘긴다 = apeach의 점수에 point를 더하고, point에 1을 더하여 탐색 중인 포인터를 +1한다.
- 3. 둘 다 점수를 얻지 못하는 경우 : point+1만 넘긴다 = 탐색 중인 포인터만 1을 더해준다.
- 탐색이 완료되면 (point>10), 이전 포인트 차이보다 큰 지 확인 후 정답을 교체해준다. 그리고, arr[10]에 남은 shots을 넣어줌으로써 남은 shot을 비운다.
🤔 2. 느낀 점
쉽지 않은 문제였다. DFS 풀이 중에서 도중에 해가 아니라면 되돌아가는 백트래킹이라는 방법이 있구나.
🤩 3. 한 번 더 짚고 갈 점
# 백트래킹 : DFS를 사용하여 해를 찾는 도중 해가 아니어서 막히면, 되돌아가서 다시 해를 찾아가는 기법
'코딩 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방금 그곡 (1) | 2023.05.13 |
---|---|
[프로그래머스] 후보키 (0) | 2023.05.12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압축 (0) | 2023.05.11 |
[프로그래머스] 순위 검색 (0) | 2023.05.07 |
[프로그래머스] 게임 맵 최단거리 (0) | 2023.04.29 |
[프로그래머스] 이모티콘 할인행사 (0) | 2023.04.28 |
[프로그래머스]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0) | 2023.04.27 |
[4월 2일] 시소 짝꿍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