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 아직 열심히 배우는 중이에요! 리액트를 하고있어요 :) - gueit214@naver.com - https://github.com/gueit214
개발 일상/개발 회고

[개발 회고록] 3월 4주차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19일(일) 📜 CS 공부 오늘의 핵심 1. React.memo : 컴포넌트에서 전달받는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 리렌더링 X + useMemo : 값 / useCallback : 함수에 대해 동일한 원리 적용 2. 클로저 : 함수 내부에서 생성한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함수로 구성 3. 함수형 프로그래밍 : 함수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식 특징 : 불순고재 : 불변성(데이터의 변경 피함) + 순수(인자에 의해서만 결정) + 고차(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반환) + 재귀(자신을 호출하여 반복) 4. 일급 객체 : 함수와 변수를 동일하게 다룰 수 있는 객체 : 변수에 저장 가능 & 인자로 전달 & 반환..

개발 독서 일지

[3월 3주차] '자바스크립트 코딩의 기술' 1편

'자바스크립트 코딩의 기술' 3월 5일 Start 📚 요약 3/5(일) 1. 변수 : 다른 개발자가 보았을 때 읽기 쉽고 예측 가능한 변수인지 질문을 던져봐야 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이 여러분의 코드 작성 방식을 상당히 변화시킬 것이다. 2. const와 let. const를 자주 사용하고 let은 드물게 사용하면 변경되는 부분을 예측할 수 있다. const를 기본으로 쓰되, 값이 변경되어야 할 때는 let을 쓰자 3. 클로저 : 다른 함수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수 내부에서 변수를 생성하는 것 4. 고차 함수 : 다른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 5. 배열로 유연한 컬렉션을 생성하라. 객체 순회 : Object.keys(), Object.values(), Objects.entries() includes() : 존..

개발 일상/개발 회고

[개발 회고록] 3월 3주차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12일(일) : 홀랑 프로젝트 마무리 중 3월 13일(월) 📜 chatGPT에게 질문 잘하는 법 참고 chatGPT가 모두에게 열린 이 세상, 답변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chatGPT에게 얼마나 자세하게, 잘 질문하는지에 따라 답변해 주는 퀄리티와 양이 천차만별이다. 위는 오늘 공부한 것들이며, 앞으로도 차차 공부해 나갈 것이다. 특히, "육하원칙에 의해 질문"과 "영어로 질문"이 가장 인상 깊었다. 질문을 세세하게 해야 답변도 세세하게 해주는 만큼, 육하원칙에 맞춰서 세세하게 질문을 해야 한다. 그리고 영어로 질문을 했을 때 chatGPT가 답해주는 양이 한글로 질문..

개발 일상/개발 회고

[개발 회고록] 3월 2주차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5일(일) 📜 한 리더분과의 만남 오늘 한 플랫폼의 리더 분을 만나고 왔다. 사실 가기 전까지 '그냥 안된다고 말씀드릴까'라는 고민을 수십 번했다. 팀 소개 사이트를 봤는데, 팀원들이 대기업 직장인, 스타트업 직장인 등 대부분이 직장인이었다. '나는 아직 학생인데, 이 사실을 알면 실망하지 않을까'라는 걱정이었다. 만나서 대화를 해보니 내 예상과는 달리 나의 정보를 대부분 알고 계셨다. 내가 지원할 때 적은 블로그, 깃헙을 통해 나의 학교, 블로그 활동들을 모두 보셨던 것이었다. 리더 분의 팀원 이야기, 팀 이야기 등 다양한 이야기를 해주셨다. 소개 사이트에서 본 것보다 다들 너무 훌륭하시고, 열정이 넘치셨다. 이야기를 듣..

개발 일상/개발 회고

[개발 회고록] 3월 1주차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2월 26일(일) : 오늘은 Off 오늘은 개발 쉬는 날이당 ~ 2월 27일(월) : 혼란의 날 📜 Atties, 앞으로의 방향은? 아띠즈는 이제 끝이 난 것 같다. 노션 칸반보드 팀원들 최근 접속일이 3일 전이고, 이제 더 이상 PR이 올라오지 않는다. 지난주 목요일 날 회의를 진행하여 앞으로 추가 구현할 기능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시간이 시간이고, 상황이 상황인지라 이제 다들 프로젝트에 신경 쓸 여유가 없는 것 같다. 나 또한 이번주 목요일부터 개강하면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벅찬 상황이 될 것이다. 프로젝트 기간인 8주 동안 불탔고, 이제는 불이 꺼지고 재만이 남아 있다. 불을 다시 살리려면 연탄(시간적 여유)과 라이터..

개발 일상/개발 이야기

[개발 이야기] 이제는 3학년, 1학기 나의 목표 (3/2 ~ 6/14)

2023.01.01 - [개발 Life] - [2022년 개발 회고록] 나의 2022년 개발 성장기 [2022년 개발 회고록] 나의 2022년 개발 성장기 2022년, 한 해가 지나갔다. 2022년은 개발자로서 어떠한 일들이 있었고, 어떠한 성장이 있었는지 회고해 보자. 한 해를 돌아보자 4월 15일 : Tistory 블로그 시작 Tistory 블로그를 개설하였다. 한 계정으 peter-coding.tistory.com 2023년, 내가 세운 올해의 목표이다. ⛅️ 올해의 1/6을 지나고 있는 지금, 나는 잘 실천하고 있는가? 1. 1월에 마무리하지 못하였다. 1,2월에 몰아닥친 새로운 프로젝트에 기존 '벚꽃 오프닝'을 마무리하지 못하였다. 이제는 끝내자. 일단 1차 배포까지는 3월에 무조건 하도록 하자..

개발 일지/개발 일지

[개발 일지] Intersection Observer API & react-query를 이용한 무한스크롤 구현

Intersection Observer란 무엇일까? 참고 Intersection Observer란, JS의 브라우저 뷰포트와 설정한 요소의 교차점을 관찰하며, 요소가 뷰포트에 포함되는지 안되는지(즉, 사용자 화면에서 보이는 지 안 보이는 지) 구별하는 기능을 말한다. 비동기적으로 실행되기에, scroll같은 이벤트 기반의 요소 관찰에서 발생하는 렌더링 성능이나 이벤트 연속 호출 같은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1. Intersection Observer 생성 가장 처음으로 Intersection Observer를 통해 관찰하려는 대상을 연결합니다. 특정 DOM에 접근할 수 있도록 useRef를 사용하여 target인 div 태그를 선택합니다. import { useRef } from 'react'; e..

개발 일상/개발 회고

[개발 회고록] 2월 4주차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2월 19일(일) : Atties 배포 전 날, 마지막 오류 수정 2월 20일(월) : Atties 운영 & 정식 배포 시작 | 홀랑 프로젝트 📜 chatGPT 활용법 참고 링크 코드 분석 : what the following code doing? 코드 작성 버그 및 에러 찾기 : can you check if there are possible bug for the code below? 테스트 케이스 작성 : write 5 test cases for the previous mthod in JUnit format 개발 문서 작성 : write a document to explain the method 키야.. chatGPT를 얼마..

피터s
피터의 성장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