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26일(일) : OFF 3월 27일(월) : 학교 생활 하느라 Busy 3월 28일(화) : 앞으로의 방향을 잡아보자. 기술 블로그에 대한 팁들을 얻었다. "블로그를 방문하는 누군가에게도 질문자님이라는 사람을 더 잘 이해하게 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이 말이 마음에 상당히 와닿았다. "나"라는 사람을 표현할 수 있는, 나의 성실함을 표현할 수 있는 그런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자. 꾸준히 조회수도 증가하는 것도 보인다. 그만큼 내가 쓴 글에 사람들이 관심을 보인다는 뜻이다. 나 생각보다 잘하고, 잘 쓰고 있나 보다 ☺️ BDD와 SDD, 이런게 있구나. 다음에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 참고해 보도록 하자. 너무..
LeetCode에서 처음 문제를 풀어봤는데, 확실히 시스템이 잘 되어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프로그래머스처럼 IDE가 문제와 함께 제공되고, 문제를 풀면 그 풀이에 대한 성능, 그리고 성능 개선을 더 할 수 있는지 질문이 주어진다. 이 질문을 제시해주지 않았더라면 나는 내가 작성한 코드의 성능에 대해 고려해보지 않았을 것이다. 이와 함게 풀이 영상, 다양한 풀이들을 볼 수 있었다. 대부분 JAVA기반이었지만, JAVA를 학습한 나에게는 어렵지 않은 문법들이라 JS로 바꾸어 적용하는데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었다. 내 풀이들이 이렇게 아카이브 된다는 점 또한 상당히 매력적이었다. 내가 이전에 어떤 풀이를 하였는지, 얼마나 성능을 개선시켰는지 확인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단점으로는 유로 버전이 있다는 점이었다...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19일(일) 📜 CS 공부 오늘의 핵심 1. React.memo : 컴포넌트에서 전달받는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 리렌더링 X + useMemo : 값 / useCallback : 함수에 대해 동일한 원리 적용 2. 클로저 : 함수 내부에서 생성한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함수로 구성 3. 함수형 프로그래밍 : 함수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식 특징 : 불순고재 : 불변성(데이터의 변경 피함) + 순수(인자에 의해서만 결정) + 고차(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반환) + 재귀(자신을 호출하여 반복) 4. 일급 객체 : 함수와 변수를 동일하게 다룰 수 있는 객체 : 변수에 저장 가능 & 인자로 전달 & 반환..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12일(일) : 홀랑 프로젝트 마무리 중 3월 13일(월) 📜 chatGPT에게 질문 잘하는 법 참고 chatGPT가 모두에게 열린 이 세상, 답변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chatGPT에게 얼마나 자세하게, 잘 질문하는지에 따라 답변해 주는 퀄리티와 양이 천차만별이다. 위는 오늘 공부한 것들이며, 앞으로도 차차 공부해 나갈 것이다. 특히, "육하원칙에 의해 질문"과 "영어로 질문"이 가장 인상 깊었다. 질문을 세세하게 해야 답변도 세세하게 해주는 만큼, 육하원칙에 맞춰서 세세하게 질문을 해야 한다. 그리고 영어로 질문을 했을 때 chatGPT가 답해주는 양이 한글로 질문..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3월 5일(일) 📜 한 리더분과의 만남 오늘 한 플랫폼의 리더 분을 만나고 왔다. 사실 가기 전까지 '그냥 안된다고 말씀드릴까'라는 고민을 수십 번했다. 팀 소개 사이트를 봤는데, 팀원들이 대기업 직장인, 스타트업 직장인 등 대부분이 직장인이었다. '나는 아직 학생인데, 이 사실을 알면 실망하지 않을까'라는 걱정이었다. 만나서 대화를 해보니 내 예상과는 달리 나의 정보를 대부분 알고 계셨다. 내가 지원할 때 적은 블로그, 깃헙을 통해 나의 학교, 블로그 활동들을 모두 보셨던 것이었다. 리더 분의 팀원 이야기, 팀 이야기 등 다양한 이야기를 해주셨다. 소개 사이트에서 본 것보다 다들 너무 훌륭하시고, 열정이 넘치셨다. 이야기를 듣..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2월 26일(일) : 오늘은 Off 오늘은 개발 쉬는 날이당 ~ 2월 27일(월) : 혼란의 날 📜 Atties, 앞으로의 방향은? 아띠즈는 이제 끝이 난 것 같다. 노션 칸반보드 팀원들 최근 접속일이 3일 전이고, 이제 더 이상 PR이 올라오지 않는다. 지난주 목요일 날 회의를 진행하여 앞으로 추가 구현할 기능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시간이 시간이고, 상황이 상황인지라 이제 다들 프로젝트에 신경 쓸 여유가 없는 것 같다. 나 또한 이번주 목요일부터 개강하면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벅찬 상황이 될 것이다. 프로젝트 기간인 8주 동안 불탔고, 이제는 불이 꺼지고 재만이 남아 있다. 불을 다시 살리려면 연탄(시간적 여유)과 라이터..
2023.01.01 - [개발 Life] - [2022년 개발 회고록] 나의 2022년 개발 성장기 [2022년 개발 회고록] 나의 2022년 개발 성장기 2022년, 한 해가 지나갔다. 2022년은 개발자로서 어떠한 일들이 있었고, 어떠한 성장이 있었는지 회고해 보자. 한 해를 돌아보자 4월 15일 : Tistory 블로그 시작 Tistory 블로그를 개설하였다. 한 계정으 peter-coding.tistory.com 2023년, 내가 세운 올해의 목표이다. ⛅️ 올해의 1/6을 지나고 있는 지금, 나는 잘 실천하고 있는가? 1. 1월에 마무리하지 못하였다. 1,2월에 몰아닥친 새로운 프로젝트에 기존 '벚꽃 오프닝'을 마무리하지 못하였다. 이제는 끝내자. 일단 1차 배포까지는 3월에 무조건 하도록 하자..
💭 1. 이번 주엔 어떤 일들이 있었고, 그 속에서 나는 어떤 것을 느꼈을까 2월 19일(일) : Atties 배포 전 날, 마지막 오류 수정 2월 20일(월) : Atties 운영 & 정식 배포 시작 | 홀랑 프로젝트 📜 chatGPT 활용법 참고 링크 코드 분석 : what the following code doing? 코드 작성 버그 및 에러 찾기 : can you check if there are possible bug for the code below? 테스트 케이스 작성 : write 5 test cases for the previous mthod in JUnit format 개발 문서 작성 : write a document to explain the method 키야.. chatGPT를 얼마..